전달자에게는 있으나 피전달자에게는 알려져 있지 않은 메시지로서 어떤 사실 · 사건 · 개체 · 처리 과정과 같이 특정한 환경 속에서 특정한 의미를 가지면서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객체에 관한
|
고려시대의 향직. [내용] 995년(성종 14) 고려 초 고유의 문무관의 관계(官階)가 중국식 문산계로 대치되자 이 관계는 향직으로 변하였다. 정보는 16위계의 향직 가운데 5품의 품계로 제9위에 해당된다
|
(1) 외국이나 해외 지역에 대한 가용 첩보의 수집, 처리, 통합, 분석, 평가, 해석을 통해 도출된 산물. (2) 관찰, 조사, 분석, 이해 등을 통해 획득한 적에 대한 정보와 지식.
|
인간의 판단이나 행동에 필요한 또는 실정에 대하여 알고 있는 지식. [개설] 정보라는 용어는 영어의 ‘information’이 우리말화한 것으로서 국내에서는 1960년대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
|
정보는 어떤 사물이나 사태에 대한 정황을 반영하고 있다. 정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차원에서 다양한 정의를 내릴 수 있다. 기술적인 차원에서 정보는 잡음이 배제된 메시지의 신호이지만 의미
|
[ 1. 정보의 다양한 정의] 사전적인 의미는 ‘생활주체와 외부의 객체 사이에 사정이나 정황의 보고(報告)’를 말한다. ‘정보’는 추상적인 차원에서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는데, 광의의 정의로서
|
여러 가지 사실이나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떤 목적에 맞게 가공한 자료. 정보(information)란 실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형태로 정리된 지식을 말합니다. 정보는 문자, 그림, 소리, 동영상 등
|
생활 주체와 외부의 객체 간의 사정이나 정황에 관한 보고. 그래서 정보에는 반드시 생활주체 → 객체 → 소식 → 평가 → 행동선택 → 효용실현이라는 사이클(cycle:循環過程)이 있게 마련이며, 이
|
(1) 문자나 도형, 말, 신호 등 광의의 기호(symbol)의 집합. 또는 인간이 일정한 약속에 기초하여 「기호」로 부여한 의미. 정보를 전달하는 패턴으로서 기호를 취할 수 있는 경우 인간의 행동 목적과
|
① 수집된 정보를 평가, 분석, 종합 및 해석한 결과로서 얻어진 지식을 말한다. 그러므로 아직 평가해석되지 않은 정보의 자료가 되는 첩보라는 제일차적 지식을 결합하여 완성한 제2차적인 새로운
|
어떤 사태에 관한 지식'이라는 막연한 의미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인간 사회에서는 이러한 지식의 대다수가 기호나 상징을 통해 표현되고 전달되며 또한 개
|
일반적으로 자연적, 사회적 등의 여러 가지 사상(事象)에 대해서 인간 상호간 등에서 전달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해서 표현된 문자, 기호, 도형, 음성, 영상 등의 매체에 의해서 전달되는 것의 모두
|
일제강점기 전국토의 지도와 지적도 작성시 사용한 토지의 넓이단위. 면적단위. [내용] 이 단위는 경술국치 이후 1960년 미터법이 법으로 정식 발효되기까지 사용되었다. 이 단위는 일본이 우리나라
|
자료나 지식의 단위이다. 사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록된 정보의 특성과 범위는 사회의 유형간에 주요한 차별적인 특징이 된다. 예를 들면, 성문화된 기록을 소유하는 문자문화는 비문자문화와
|
자료를 목적에 맞게 선별하거나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하고 의미있게 만든 것. [예시] 학생 각각의 키 혹은 성적은 자료라고 할 수 있지만 이 자료들을 평균하여 얻은 값은 정보가 될 수 있습니
|
실체의 본질을 밝히는 자료나 자료의 의미 또는 자료의 분석 결과. 불확실한 실체를 분류하거나 정의할 수 있는 특성값을 가진 자료 또는 개념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 분석 결과이다. 정보는
|
사물의 이름·사실·사건을 이르는 말. 이러한 개개 정보가 체계화된 것을 지식이라 부른다. 그러므로, 지식도 넓은 의미에서는 정보에 해당한다. 사물의 이름은 연필·백묵·개·고양이·교사 등이
|
인간의 신경 계통에 어떤 영향을 주는 것, 즉 보거나 듣거나 접촉하거나 하여 느끼는 것. 또 인간 이외의 생체나 사람이 만든 기계 등에 반응을 주는 추상적인 것도 모두 정보라 한다. 따라서 정보
|
정보란 일정한 의미를 부여한 기호 및 기호의 체계로, 어떤 의도 하에 정리 또는 가공한 자료의 집합을 말한다. 즉 정보는 일정한 목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자료(data)를 처리·정제한 것을 말한다.
|
고려 전기의 관계. [내용] 고려 개국 직후 왕건(王建)이 신라의 옛 위계 사용을 벗어나서 태봉의 관계를 이어받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고려 초기의 독자적인 공적 질서체제로서 태조의 직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