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사이트에 등록된 모든 정보의 검색결과 입니다.

백과사전 네이버 검색결과 NAVER OpenAPI

마포구 동교동의 창천에 있던 작은 다리를 말하며, 잔다리라고도 불렀다. 하천이 복개되어 찾을 수는 없으나, 오늘날의 동교동(東橋洞), 서교동(西橋洞)의 동명 유래가 되었다.
세상의 가르침. 교육과 정치의 힘으로 풍습이 잘 교화된 사회의 가르침.
예전에 이곳에 한강으로 가기 위해 건너야 하는 작은 다리가 있어서 잔다리라고 불렀는데, 그것이 한자화되어 세교(細橋)가 되었다. 동서 두 군데 있던 것 중에서 지형이 낮은 곳에 있으므로 아랫잔다리...
마포구 동교동의 창천에 있던 작은 다리를 말하며 한자명으로 세교(細橋)라고도 하였다. 하천이 복개되어 찾을 수는 없으나 그 지명이 오늘날의 동교동으로 이어진다.
세교동 동명은 이곳에 ‘잔다리’ 즉 세교가 있던 데서 유래되었다. 세교동은 1955년 4월 18일 서울특별시조례 제66호에 의해 행정동제가 실시될 때 설치되어, 서교동 · 합정동 · 망원동 · 동교동 일원을...
조선시대 북서 연희방에 있던 계로서, 계 이름은 세교 즉 ‘잔다리’가 있던 데서 유래되었다. 고종 초에 세교리2계였고, 계 내에 궁동 · 세교동이 있었으며, 현재 행정구역으로는 마포구 동교동 일대에...
조선시대 북서(北署) 연희방에 있던 계로서, 계 이름은 세교 즉 ‘잔다리’가 있던 데서 유래되었다. 고종 초에 세교리1계였고, 계 내에 세교동이 있었고, 현재 행정구역으로는 마포구 서교동 일대에 해당된다....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성남면과 병파면(丙坡面)이 병남면(丙南面)으로 통합되어 진위군 병남면 세교리(細橋里)가 되었다. 1931년 4월 1일 병남면이 평택면(平澤面)으로 개칭되었고, 1938년...
법정동 세교동 · 지제동 일원과 동삭동 · 신대동 각 일부를 관할한다. 법정동 세교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진위군 성남면(城南面) 세교리(細橋里)와 은실리(銀室里)가 합쳐진 것이고, 지제동은 성남면...
기록으로는 1789년(정조 13) 시봉면 세교리로 처음 등장한다.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수원군 성호면(城湖面) 관할이 되었다. 1941년 수원군 오산면 관할을 거쳐, 1960년 화성군 오산읍 관할이 되었다....
조선시대 북부 연희방에 있던 계로서, 계 이름은 세교 즉 ‘잔다리’가 있던 데서 유래되었다. 고종 초에 세교리1계와 세교리2계로 나뉘어졌으며, 현재 행정구역으로는 마포구 동교동 일대에 해당된다....
→ 가는다리. 황해북도 평산군 삼천리 소재지 동쪽 유교동 옆에 있는 마을. 앞개울에 놓은 다리가 가늘고 길다 하여 가는다리 또는 한자표기로 세교동(細橋洞)이라고도 한다.
[내용] 태을교(太乙敎)에서 분리하여 창설된 종교로서 처음에는 삼신교(三神敎)라고 하였으나, 1927년 교명을 대세교로 바꾸었다. 교리는 유(儒)·불(佛)·선(仙)의 삼교를 바탕으로 하여, 조선 고유의...
경기도 평택시 세교동에 있는 시립도서관. 경기도 평택시 세교동에 있는 시립도서관으로, 2018년 3월 28일 개관하였다. 연면적 1,000.2㎡ 규모의 지상 2층으로 지어졌으며, 1층에는 어린이자료실...
1997년 1월 14일 세교초등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1일 개교하였다. 기본 시설 외에 자료제작실·예절실·특별실 등을 갖추었다. 각 교실마다 멀티미디어 기자재를 갖추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공립중학교로 2001년 개교하였다. 2001년 3월 1일 개교하였으며 2001년 3월 2일 12학급, 468명으로 제1회 입학식을, 2001년 5월 6일 개교기념식을 거행하였다. 2003년 3월 2일...
2012년 1월 12일 세교고등학교의 설립인가를 받았으며, 그 해 3월 1일 개교하였다. 2015년 2월 12일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34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훈은 ‘信念 있는 行動, 創意的인...
경기도 오산시 세교동 517번지에 있는 보호수. 수령 306년으로 추정되는 느티나무로, 오산시에서 1995년 5월 23일 보호수로 지정하였다. 지정번호는 경기-오산-2호이며 나무 높이 18m, 나무 둘레 4m...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교리에 있는 시기 미상의 토축 산성. [개설] 세교리산성(細橋里山城)은 배방읍 세교2리 안골마을 바로 뒤에 솟아 있는 높이 100m의 성재산[대성산] 정상부에 축조되어 있다....
조선 전기 이래 한양과 영호남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였던 오산은 지금도 경부고속도로, 1번 국도, 경부선 철도가 지나가며 경기 남부의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오산의 역동적인 변화를 이곳저곳 걸어 다니며...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