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자산 등의 계정자리. 구좌(口座)라고도 한다. 예금계좌 ·우편대체계좌 등과 같이 쓰이며, 예를 들면 ‘갑’은행은 예금계좌수 몇 좌에 예금총액 얼마라고 하는 식이다. 부기에서는 재산의
|
묏자리나 집터 등이 계방을 등지고 있는 좌향. 흔히 계좌정향(癸坐丁向)이라 한다.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서 말하는 방위(方位) 중 묏자리나 집터 등이 계방을 등지고 정방(丁方)을 바라보는 방
|
금융 기관에 예금하려고 설정한 개인명이나 법인명의 계좌 북한의 철도용어돈자리
|
|
북동쪽 방향. 구체적으로는 정북(正北)에서 동쪽으로 15도를 중심으로 한 각도 안의 방향을 말함.
|
계좌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에게 알리기 위하여 작성하는 서식. 계좌는 예금이나 자산과 같은 계정자리를 가리킨다. 계좌는 다르게 구좌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예금계좌, 우편대체계좌와 같
|
계좌내역서란 계좌의 내용을 보여주는 문서이다. 계좌내역서란 계좌의 내용을 보여주는 양식으로, 계좌는 금융 기관에 예금하려고 설정한 개인 명의나 법인 명의 계좌 등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
금전의 이동이 이루어질 계좌에 대한 정보를 신고하기 위한 서식. 계좌를 개설한다는 것은 증권회사 혹은 은행과 거래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계좌개설은 매매거래 계좌설정 약정서
|
계좌현황서란 계좌와 관련된 각종 현황을 정리한 문서이다. 계좌는 일반적으로 현금의 입출금 현황을 표기할 수 있는 것으로 예금계좌를 의미하며, 이는 금융 기관에 예금하려고 설정한 개인명이
|
계좌신청서란 결제가 이루어지는 은행 계좌를 작성하여 신청하기 위한 양식이다. 결제는 증권시장 등 기타 상권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이는 유가증권의 매매 거래가 성립된 후에 매도 증권과 매
|
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을 통틀어 ‘연금계좌’라고 한다. 연금계좌의 장점으로 우선 눈에 띄는 것은 세제 혜택이 크다는 것이다. 연금저축은 납입금액 중 연간 4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
|
은행, 보험사, 우체국이 보유하고 있는 예금, 보험금 등에 대한 채권 중 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으나 찾아가지 않은 휴면예금 또는 휴면보험금을 말한다. | 외국어 표기 | 休眠
|
증권계좌 가운데 대용증권이나 보유포지션을 반대매매한 이후에도 미수금이 남아 실질잔고가 마이너스인 계좌를 말한다. 증권사는 이처럼 남은 미수금을 무담보미수채권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
|
남의 이름을 빌리거나 도용하여 개설한 불법적 금융거래계좌. 부정하게 생긴 돈의 출처를 숨겨 정상적으로 벌어들인 깨끗한 돈처럼 보이도록 꾸미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비자금이나 불법적 로비
|
은행에서 기관이나 기업의 신청을 받아 임의로 만든 가상의 계좌. 업체가 고객에게 일회성으로 부여하는 고유 계좌다. 주문이나 고객별로 다른 계좌번호가 생성되어 입금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
본인이 아닌 타인의 이름을 빌리거나 도용하여 만든 은행계좌를 말하는 것으로, 1993년 8월 금융실명제가 도입된 이후 차명계좌의 개설 및 사용은 불법이다. | 외국어 표기 | 借名計座(
|
통장은 없고 계좌번호만 고객 이름으로 부여한 계좌를 말한다. 학원비, 지방세, 아파트 관리비, 우유 배달비 등을 납부하는 데에 사용한다. 가령 학원이 학원비를 받으려고 학원 명의 계좌를 은행
|
법인계좌 아래 여러 명의 거래자 개인 계좌를 두는 방식으로, 일부 가상화폐 거래소들이 투자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우회 수단으로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생겨났다. | 외국어 표기 | ─計座(한자) |
|
은행, 증권사, 보험회사 등에서 만들어진 계좌 중 잔액은 남아있으나 거래가 끊긴지 오래된 계좌를 말하며, 고객이 찾아가지 않아 휴면계좌에 남아있는 잔고를 ‘휴면예금’이라고 한다. 은행, 증
|
저축예금·기업자유예금·자유저축예금 등 입금과 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가운데 일정 기간 이상 거래가 없는 계좌. 일반적으로 저축예금이나 기업자유예금·자유저축예금 등 입금과 출금이 자유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