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교육철학을 찾는 여정 [당신의 교육철학을 한 권의 책에 담아드립니다] 워크북을 통해 만들어진 책입니다.
나의 가르침은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 즉, 교육관을 바탕으로 합니다. 그리고 강의의 내용과 방법, 학습자와 동료를 향한 나의 말과 행동의 바탕이 되는 일관된 관점을 교육철학이라고 합니다. 교육철학은 교육의 핵심이지요. 나의 교육행위 이면에는 어떤 생각이 작용하고 있을까요?
일상적으로 해왔던 교육활동은 어떤 의미와 연결되어 있을까요? 가르침의 철학과 나의 정체성은 어떻게 이어질까요?
이럴 땐 이랬다, 저럴 땐 저랬다, 나의 교육관은 상황에 따라 흔들흔들합니다. 아직 나의 교육철학이 무엇인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교육철학을 어떻게 찾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혼자서는 어려운 함께 했던 이야기와 글
모여서 읽고, 서로에게 묻고, 이야기를 나누고, 글을 썼습니다. 그리고, 쓴 글을 모아 나의 교육철학이 담긴 한 권의 책으로 만들었습니다.
상상하는 아이 창작동화 시리즈 15권.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그것을 표현해가는 과정을 아이의 시선으로 풀어나가고 있다. 다소 무겁고 어두운 사회 현실의 문제를 저자만의 위트 있는 문장력과 재미있는 일러스트로 읽는 즐거움을 더해주고 생각의 거리를 안겨준다. 감정 표현이 서툰 아이를 통해 우리 사회 현실 문제를 비추고 있다.
이 동화책의 주인공 이세교는 서툰 감정 표현으로 자기 자신은 물론 주변 사람들을 힘들게 한다. 하지만 세교의 행동은 결코 그 아이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부모님의 말과 행동, 친구들과 선생님 사이의 교류, 동네 사람들과 형성되는 관계 들을 들여다보면 아이에게 크고 작은 상처를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차츰 세교는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감정을 표현하는 게 서툴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런 시간을 겪으며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다시 한 번 들여다본다. 그리고 차츰차츰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배려하는 마음도 생기게 된다.
좋은 사람, 좋은 교사, 좋은 선생님이 되고자 하는 세 명의 교사가 함께 학교의 일상을 담아냈다. 이 책은 학생들의 모습을 사진으로 공유하고 서로 댓글을 통해 꾸준히 응원하고 격려해 나간 결과물이다. 학교의 일상을 이처럼 선명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책은 흔치 않다. 댓글에 나타나는 교사들의 마음도 보는 사람의 마음을 울려온다.
소태산 박중빈과 원불교문학을 연구해온 저자 이혜화가 『소태산 박중빈의 문학세계』, 『원불교의 문학세계』, 『소태산 평전』, 『소설 소태산』에 이어 『정산 송규 평전』을 출간했다. 정산 송규는 소태산 박중빈을 잇는 원불교 2세 교주다. 소태산은 살아생전 정산에게 2인자 자리를 맡기며 “우리 회상의 법모요, 전무후무한 제법주다”라는 말을 남겼다. ‘법모’는 교단에서 정산의 역할이 소태산의 아버지 역에 대응하는 어머니 역이라는 의미이다. ‘제법주’는 법을 만드는 주인공이라는 뜻인데, 이는 소태산이 법을 만들고, 정산은 그를 보완하고 확장하는 역할을 맡았음을 의미한다. 이 책을 통해 정산이 전 생애에 걸쳐 자신의 책무를 얼마나 잘 이행했는지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