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사이트에 등록된 모든 정보의 검색결과 입니다.

백과사전 네이버 검색결과 NAVER OpenAPI

전라남도 구례군의 문척면 죽마리에 위치한 산이다(고도:542m). 섬진강이 서쪽에서 오산을 감돌고 흘러 동쪽으로 빠져나간다. 『신증동국여지승람』(남원)에 "오산은 유곡(楡谷)의 남쪽 15리에 있
[오산] 전라남도 구례군 문척면 죽마리에 있는 높이 531m의 산이다.(동영상 출처 : 두산백과 두피디아)
충청남도 부여군의 부여읍 능산리(陵山里) · 염창리(鹽倉里)에 걸쳐 있는 산이다(고도:221m). 오석산(烏石山), 오적산(烏積山)이라고도 부르는데 까만 돌이 나오는 산이라 한다. 백제 때부터 삼령산
중국 선종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다섯 사찰. 정부가 주지를 임명하는 관제(官制) 사찰이다. 중국 남송(南宋) 시대에 정부가 특별 보호를 위해 설치한 것이 시초이며, 사미원(史彌遠)의 주상(奏
전라남도 구례군 문척면 죽마리에 있는 산. 높이는 531m로, 지리산을 마주보는 자라 모양의 산으로 야트막하고 능선이 부드러워 가족 등반에 적당하다. 산행은 죽연마을에서 시작해 산길을 돌면 섬
선종(禪宗)사원의 격식제도. 본래는 인도의 5정사(精舍)에서 생겨났다고 전해지며 중국 남송 초, 강남지방에 5산의 선사(禪寺)를 정하고 영종(寧宗, 재위 1194~1224)의 대에서는 5산 밑에 10개의 절을 설
5가지 산증(疝症)을 통틀어서 일컬음. 즉 석산(石疝) · 혈산(血疝) · 음산(陰疝) · 투산(妒疝) · 기산(氣疝)을 말한다. 산증의 항을 참조.
경기도 남서부에 있는 시. 경기도의 남서부, 경도상으로는 동경 126° 59′ 07″~127° 06′ 21″, 위도상으로는 북위 37° 07′ 27″~37° 11′ 55″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화성시 동탄동, 서쪽으로는 화성
평안남도 남포시 대대동의 동북쪽에 있는 마을. 본래 용강군 대대면에 소속된 리였는데, 1914년에 리가 폐지되면서 마을이름으로 이용되고 있다.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와 염창리에 걸쳐 있는 산. [개설] 오산(烏山)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와 염창리에 걸쳐 있는 180ⅿ의 산이다. 백제 사비기에 신성시되었던 삼산(三山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원남동에 있는 자연 마을. [명칭유래] 오산천변(烏山川邊)에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新基]라고도 불렸다. [자연환경] 오산
신선이 사는 곳. 우리 나라의 별칭. 高名早飛於鶯牓 重望尙屹於鼇山(고명조비어앵방 중망상흘어오산 ; 높은 이름을 일찍 앵방-과거 급제 명단-에 날렸고, 두터운 덕망은 우리 나라에 높았다.)<하천
소주부(蘇州府) 오강(吳江) 사람으로 자는 정지(靜之), 호는 인암(訒庵)이다. 명(明)나라 때의 관리이다. 정덕(正德) 3년(1508)의 진사(進士) 출신으로 벼슬은 형부주사(刑部主事), 원외랑(員外郎), 순무
발해(渤海) 동쪽에 있다고 하는, 신선이 사는 다섯 산.
평안남도 덕천시 오산동 승리산의 남쪽에 있는 산. 자라처럼 생겼다. 오산이라고도 부른다.
중국 푸젠성 푸저우에 있는 산. '우스산[乌石山]'이라고도 한다. 당(唐)나라 때 '민산[闽山]'이라는 명칭을 하사받았으며, 송(宋)나라 때에는 군수(郡守)였던 청스멍[程师孟]이 산을 둘러보다가 이곳
전통 연희를 동반하던 봉래산 형태의 무대 구조물. 산대는 전통 연희를 동반하던 봉래산 형태의 무대 구조물이다. 산대에는 고정형 대형 산대인 대산대(大山臺), 이동형 소형 산대인 산붕(山棚), 다
조선 중기의 문신. 명나라에 보내는 대부분의 외교문서를 담당, 명나라에까지 문명을 떨쳐 ‘동방문사’라는 칭호를 받았다. 한시에 뛰어나 한호의 글씨, 최립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로 불리었다
일제강점기 때 활동한 독립운동가. 1919년 경기도 수원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 의열단에서 항일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호는 오산(午
한말의 독립운동가. 미국에서 공립협회를 창설하고 《공립신문》을 창간하였으며, 귀국하여 신민회 조직에 참여하고, 《해조신문》을 창간하여 독립운동과 독립사상을 고취하는 데 힘썼다. 광복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