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에 의하여 권리·의무의 주체로서의 자격을 부여받은 사람. 법인은 자연인에 의하여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사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사람의 결합이나 특정한 재산에 대하여 자연인과...
|
법인이란 전형적인 권리능력의 주체인 자연인 이외의 것으로서 법인격(권리능력)이 인정된 것으로서 법인격(권리능력)이 인정된 것이다. 일정한 목적과 조직을 가진 사람의 결합인 단체(사단 또는 조합)와...
|
자연인 이외에 법률상 권리의무의 주체가 되는 자. [내용] 무엇을 법인의 본질로 보느냐에 관하여는 법인의제설·법인부인설·법인실재설 등의 법인학설이 대립되고 있으나, 법인은 사회활동을 영위하는...
|
법명인 법인은 화기에 '法仁; 法印' 등으로 기록되기도 하였으며, 자세한 행적이 전하지 않아 생몰연대를 알 수 없다. 현존하는 작품으로는 15점이 전하고 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1854년부터 1863년까지...
|
법인이란 자연인 이외의 법률상 권리의무의 주체가 되는 자를 말한다. 무엇을 법인의 본질로 보느냐에 따라 법인의제설·법인부인설 및 법인실재설 등의 법인이론이 있으나, 법인은 사회적 활동을 하는 단체를...
|
이러한 사단(社團) 또는 재단(財團)에 법적인 인격(人格)을 부여하여 마치 실제 사람인 것처럼 권리·의무의 주체로 인정하는 것을 법인(法人)이라 한다. 무엇을 법인의 본질로 보느냐에 관하여는, 법인의제설...
|
것이 법인이다. 법인은 법률의 규정에 의해서만 성립되며 법인의 소멸은 사단법인(社團法人)인 경우 해산하고, 청산절차 종료 후 청산종결의 등기를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법인의 종류는 구성요소에 따라...
|
자연인과 함께 민법상 권리ㆍ의무의 주체. | 외국어 표기 | 法人(한자) juristische person(영어) | 자기 고유의 목적과 행위를 가지고 권리ㆍ의무의 주체로서 사회적 활동을 하는 자로서, 자연인에 의해...
|
재산에 대하여 자연인과 마찬가지로 법률관계의 주체로서의 지위를 인정한 것이다. 법인은 크게 공법인과 사법인,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 사단법인과 재단법인, 내국법인과 외국법인 등으로 나누어진다.
|
전통불교에는 제행무상(諸行無常)ㆍ제법무아(諸法無我)ㆍ열반적정(涅槃寂靜)의 삼법인(三法印)이 있는데, 법은 참다운 진리를 말하며, 인(印)은 불변하는 진리의 표시라는 뜻을 갖는다.
|
법률상으로 인격을 인정받아서 권리능력을 부여받은 주체. 원불교 교단에서는 재단법인(財團法人)과 사단법인(社團法人) 같은 사법인(私法人)을 두어 교단의 기관을 국가법의 테두리에서 운영하고 있다.
|
(Corporation), 신탁(Trust), 합작회사(Partnership), 합작투자회사(Joint Venture), 개인기업(Sole Proprietorship), 협회(Association) 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인을 지칭한다.
|
[정의] 자연인이 아니지만 법률에 의해 권리능력이 인정된 단체 혹은 재산을 의미한다. [해설] 상법, 민법과 특별법 등에 따라 법원에 법인설립 등기를 마친 기업을 말한다.
|
① 산스크리트어 dharma-mudrā 산스크리트어 dharma-uddāna 법(法)은 부처의 가르침, 인(印)은 특징·특질·징표·지표를 뜻함. 부처가 설한 가르침의 특징. ② 탄문(坦文)의 시호.
|
원불교가 법인기도를 통해 법계로부터 인증을 받았다는 뜻에서 생긴 말. 여기서 법은 허공법계 또는 진리계를 말하며, 인(認)은 인증ㆍ인가라는 뜻이다.
|
사제(四諦)를 명료하게 주시하여 그것에 대한 미혹을 끊고 확실하게 인정함. 진리를 확실하게 인정하고 거기에 안주하여 마음을 움직이지 않음.
|
회사 취업규칙·단체협약 등에 겸직을 금지하는 조항이 없고 회사의 허락을 받았다면 직장인도 다른 법인의 대표이사가 될 수 있다. | 법령 | 상법 | | 주요 조문 | •상법 제198조(사원의 경업의 금지)...
|
고려의 승려로 태조가 아들을 얻도록 기도를 드려 훗날의 광종을 낳게 한 뒤 총애를 받았다. 광종이 재위할 때 국사를 지냈다. 속성 고(高). 자 대오(大悟). 호 성사미(聖沙彌). 시호 법인(法印). 탑호 보승...
|
남북조시대 양(梁)나라 때의 승려. 강릉(江陵) 사람이다. 천황사(天皇寺)로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뒤 『법화(法華)』와 『유마(維摩)』를 외우는 것으로 일과를 삼았다. 나중에 복주산(覆舟山) 바위...
|
일체의 것이 불생불멸임을 인정하는 것. 무생의 법을 인정한다는 말로 모든 사물에 불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진리를 깨닫는 3종류의 지혜, 곧 《묘법연화경》에 나오는 삼법인(三法忍)의 하나이다. 법인(法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