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사이트에 등록된 모든 정보의 검색결과 입니다.

백과사전 네이버 검색결과 NAVER OpenAPI

조선후기 김직재의 무옥사건에 연루되어 거제도에 유배된 왕족. 종실. [개설] 아버지는 익성군 이형령(益城君 李亨齡)이며, 선조의 여섯째 아들인 순화군 이보(順和君 李보)에게 입양되었다. 1609년(
조선 후기의 문신. 평안도 암행어사 등을 지내었다. 경상도선무사(宣撫使)·함흥부안핵사를 지내며 혼란한 민심을 수습하였다. 주요저서로 문집 《종산집》이 있다. 본관 용인(龍仁). 자 태경(台卿)
일제강점기 「청포도」, 「절정」, 「광야」 등을 저술한 시인.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진성(眞城). 경상북도 안동 출신. 본명은 이원록(李源綠) 또는 이원삼(李源三). 원삼은 주로 가정에서만
1807(순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태경(台卿), 호는 종산(鐘山). 이진흥(李普興)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종호(李宗祜)이다. 아버지는 이재익(李在翼)이며, 어머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태경전」은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이 작품은 영웅의 일생을 기본 구조로 삼아 전개된다.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는 이 진사
[작품해설] 작자 · 창작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과 구활자본이 있다. <이사마효충록 李司馬孝忠錄>1권 1책이 알려졌고, <이태경전 李泰景傳>(1916), <삼국이대장전 三國李大將傳> 등이 전
조선시대의 작자·연대 미상의 고대소설. 국문본. 《삼국이대장전(三國李大將傳)》이라고도 한다. 조선 세종 때 가난한 선비 이태경은 지극한 효성으로 관로(官路)에 천거되어 출세를 거듭하다가
작자 · 창작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 필사본. <이사마효충록(李司馬孝忠錄)> 1권 1책과 활자본으로 <이태경전(李泰景傳)>(1916), <삼국이대장전(三國李大將傳)> 등이 전한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2018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 기초의원 이태경 선거 벽보
2006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기초의원 이태경 선전벽보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해룡전」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이 작품은 이해룡이 가난과 같은 현실 문제로 인해 효를 실천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자기 몸을 팔아서라도 효도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개설] 4권 4책으로 이루어진 국문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작품의 전반에는 영웅과 미인의 결연과정을 얽어 놓고, 후반에는 영웅의 무용담을 표현해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형상의 시문집. [내용] 18권 9책. 목판본. 1774년(영조 50) 손자 만송(晩松)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채제공(蔡濟恭)의 서문, 권말에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있다. 권1∼4
1903년(광무 7) 11월 충청남도 지계감리(地契監理)에서 발행한 네 건의 토지 관련 문서 중 하나이다. 대한제국은 1901년(광무 5) 토지 관련 문서의 업무를 담당하던 지계아문(地契衙門)을 설치하고 각도
1560(명종 15)∼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득여(得輿), 호는 관송(觀松) 또는 쌍리(雙里). 좌찬성 이극돈(李克墩)의 후손이며, 이수훈(李秀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
조선시대 집의, 사간, 우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회지(晦之), 호는 독석(獨石). 조지서별제 황기준(黃起峻)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행호군 황열(黃悅)이고, 아버지는
조선시대 김직재의 옥사와 관련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어(景魚). 김결(金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승석(金承碩)이고, 아버지는 김흠(金欽)이며, 어머니는 전순필(全舜弼)의
1989년에 제작된 오창준 감독의 한국영화.
2010년에 제작된 김준 감독의 한국영화.
이전